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모두 고급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저급 언어(어셈블리어, 기계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각각의 컴퓨터는 컴퓨터의 구조에 따라 사용하는 기계어가 달라지며, 기계어에 대응되어 만들어지는 어셈블리어도 각각 다르게 변환됩니다.
컴퓨터의 CPU마다 지원하는 오퍼레이션의 타입과 개수는 제각각이며, 레지스터의 크기와 개수, 저장된 데이터 형의 표현도 각기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구조에 따라 어셈블리어도 달라지게 되었고, 이를 추상화 하기 위해 고급 언어를 만들었고, 고급 언어를 저급 언어로 변환해주기 위해서는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가 필요했고, 이를 지원하는 언어들에 따라 여러 방식이 생겨난 것입니다.
내용 참조: 어셈블리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컴파일러(Compiler)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전체를 읽고 분석한 후, 일련의 과정을 통해 바로 기계어로 변환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변환 과정을 컴파일이라고 하며, 컴파일은 일반적으로 개발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컴파일러는 컴파일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한 번에 모두 표시하는 편입니다.
이런 컴파일 방식을 사용하는 언어로는 C, C++, 등이 있습니다.
인터프리터 (Interpreter)
인터프리터는 컴파일러와는 달리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미리 변환 해 놓지 않고, 실행되는 시점에 한 줄씩 읽고, 즉시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줄에서 실행을 중단하고 오류를 표시합니다.
이런 인터프리터 방식을 사용하는 언어로는 JavaScript, Ruby, Python, 등이 있습니다.
한 줄씩 실행되다가 오류가 발생해서 그 줄에서 멈추는 모습
위 예제는 인터프리터 언어인 JavaScript의 예제입니다.
한 줄씩 실행되다가 오류가 발생해서 그 다음 줄인 console.log(“이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 를 출력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주요 차이점
- 실행 시점
- 컴파일러는 코드를 미리 기계어로 변환하고 실행 파일로 저장합니다.
- 인터프리터는 코드를 실행 시점에 한 줄씩 읽고 즉시 실행합니다.
- 오류 처리
- 컴파일러는 코드 전체를 읽고 분석한 후 오류를 한 번에 표시합니다.
- 인터프리터는 오류가 발생한 줄에서 실행을 중단하고 오류를 표시합니다.
- 실행 속도
- 컴파일러는 코드를 미리 기계어로 변환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릅니다.
- 인터프리터는 실행 시점에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 플랫폼 종속성
- 컴파일러는 특정 플랫폼에 최적화된 실행 파일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는 해당 플랫폼에서만 실행되는 편입니다.
- 인터프리터는 소스 코드를 직접 실행하기 때문에 플랫폼에서 독립적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
컴파일러의 장단점
장점
- 효율성: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미리 변환하기 때문에, 실행 시간이 빠릅니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크고 복잡한 프로그램에서 유용합니다.
- 오류 검출: 컴파일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오류를 한 번에 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코드를 수정하고 디버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보안: 컴파일된 코드는 바이너리 형태이므로, 원본 소스 코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단점
- 플랫폼 종속성: 컴파일러는 특정 플랫폼에 최적화된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해당 플랫폼에서만 실행되는 편입니다.
- 컴파일 시간: 큰 프로그램의 경우, 컴파일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인터프리터의 장단점
장점
- 플랫폼 독립성: 인터프리터는 소스 코드를 직접 실행하기 때문에,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
- 디버깅: 코드를 한 줄씩 실행하므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즉시 알 수 있고, 해당 줄에서 디버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개발 시간 단축: 컴파일 과정이 없으므로, 코드를 작성하고 바로 실행해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습니다.
단점
- 실행 속도: 프로그램의 실행 시점에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 원본 코드 노출: 인터프리터는 원본 소스 코드를 직접 실행하기 때문에, 코드 보호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선택은 개발자의 상황과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빠른 실행 속도가 필요하거나, 특정 플랫폼에 최적화된 코드가 필요한 경우에는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플랫폼 독립적인 코드가 필요하거나, 빠른 프로토타이핑이 필요한 경우에는 인터프리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JIT(Just-In-Time) 컴파일러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JIT 컴파일이란,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코드를 실행 시점에 컴파일하여 실행 속도를 높이면서도 플랫폼 독립성을 유지하려 시도한 것입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C#의 JIT 컴파일이란? 포스트를 참조해 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